✅ 1. 자보 처리 시 기본 흐름 이해하기
자동차보험에서 보상받는 구조는 아래와 같습니다.
| 구분 | 설명 |
|---|---|
| 치료비 | 병원에서 보험사로 직접 청구, 본인 부담 없음 |
| 휴업손해 | 입원·치료로 인한 소득 손실 (급여 근거자료 필요) |
| 위자료 | 사고로 인한 정신적 피해 보상 (부상 정도 반영) |
| 기타비용 | 간병비, 교통비, 후유장해 등 (케이스별 상이) |
| 합의금 | 위 모든 요소를 종합해 보험사와 ‘합의’하는 금액 |
✅ 2. 합의 전 준비할 것들
합의는 치료 종료 후 또는 장기 치료가 예상될 때 진행합니다.
보험사가 적게 주려는 걸 막기 위해 꼼꼼한 준비가 핵심이에요.
📌 꼭 챙겨야 할 자료들
-
진단서, 소견서, 입원 기간 증빙
-
급여 명세서 (최근 3~6개월치 / 세전 600만 원 소득 근거)
-
재직증명서 (직장인이었음을 증명)
-
치료 기록지 (통원치료 포함)
-
휴업 손해 계산표 (못 받은 급여 = 손해액)
예시)
“3주 입원 + 2주 통원치료 → 총 5주 휴업”
월 600만 원 기준, 일할 계산 시 약 750만 원 휴업손해 발생 가능
→ 이걸 바탕으로 합의금 요구 가능!
✅ 3. 보험사와 협상할 때의 팁
보험사는 보통 최소 금액부터 제시합니다.
하지만 우리는 아래 3가지 포인트를 강하게 밀어붙여야 합니다.
💡 협상 키포인트
-
“실제 월급 자료를 바탕으로 손해액이 크다”고 어필
-
“뼈 골절로 정신적 충격·통증이 컸다”는 위자료 강조
-
“무급휴가로 인해 생계적 손실”을 구체적으로 언급
📌 예시 멘트:
“월 600만 원 소득자이며, 치료로 인한 직접 손해가 700만 원 이상입니다.
이외에도 골절로 인한 통증과 후유 가능성을 고려해
최소 1,200만 원 이상의 보상이 필요합니다.”
→ 이렇게 본인이 원하는 합의금 기준을 먼저 제시해도 됩니다.
✅ 4. 변호사 or 손해사정사 도움 받을까?
혼자 하기 어려우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방법입니다.
| 선택지 | 특징 |
|---|---|
| 손해사정사 | 보험 보상에 특화, 성공보수 기준 계약 가능 |
| 교통사고 전문 변호사 | 분쟁 대응에 유리, 법적 분쟁시 대비 가능 |
| 법률구조공단(공공) | 간단한 상담 무료, 법률 정보 제공 |
✅ 5. 이런 경우는 꼭 주의!
-
급하게 합의하지 마세요!
→ 병원 치료가 끝나기 전, 보험사에서 조기합의 유도하는 경우가 많아요.
무조건 치료 종료 이후에 합의하는 것이 유리합니다. -
"위자료 50만 원 드릴게요" 같은 소액 제안에 속지 마세요.
→ 치료기간이 길고, 골절이면 최소 수백만 원 이상 요구가 정당합니다.
🔚 마무리 요약: 이렇게 준비하세요
-
📌 치료비는 자보로 처리, 부담 無
-
💵 손해액 + 정신적 피해 = 합의금으로 최대한 보상받기
-
📄 급여자료, 진단서 등 철저한 준비
-
🤝 합의는 치료 종료 후가 유리
-
🤔 불안하면 전문가 조력도 고려!
#교통사고보상 #합의금계산 #자동차보험 #자보처리 #산재vs자보 #보험합의팁 #골절사고보상 #무과실사고보상 #교통사고피해자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