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여러분의 든든한 경제 비서, Dr.데일리입니다.
2025년도 어느덧 막바지를 향해 가고 있는데요. 이맘때가 되면 직장인, 아르바이트생, 그리고 사업주 사장님들까지 모두가 한마음으로 궁금해하는 것이 있죠? 바로 '내년도 최저임금'입니다.
2025년에 드디어 '시급 1만 원' 시대를 열었던 최저임금이 2026년에는 과연 얼마나 올랐을까요? 수많은 논의 끝에 드디어 2026년 최저임금이 확정되었습니다.
오늘 이 글 하나로 2026년 최저임금의 모든 것, 그래서 내 통장에 찍힐 월급과 실수령액은 얼마가 되는지, 그리고 이번 협상 과정은 어땠는지까지 속 시원하게 알려드릴게요!
2026년 최저임금, 드디어 10,320원 확정!
가장 궁금해하실 결론부터 말씀드릴게요.
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320원으로 최종 결정되었습니다.
이는 2025년 최저임금인 10,030원보다 290원 (2.9%) 인상된 금액입니다. 사실 이번 협상 과정에서 노동계는 최초 11,500원 수준의 큰 폭 인상을, 경영계는 동결에 가까운 안을 주장하며 팽팽하게 맞섰는데요.
놀랍게도, 무려 17년 만에 노동계와 경영계가 표결 없이 '합의'를 통해 결정한 금액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가 있습니다. 경제 상황과 물가 상승 등 여러 요소를 고려한 결과라고 하네요.
2025년 최저임금: 시급 10,030원
2026년 최저임금: 시급 10,320원 (▲290원, 2.9% 인상)
그래서 내 월급은 얼마가 될까요? (월급, 연봉, 실수령액 총정리)
"시급 10,320원은 알겠는데, 그럼 한 달에 얼마를 받는다는 걸까요?" 맞아요, 우리에게 정말 중요한 건 '월급'이죠. 지금부터 딱딱한 계산은 빼고, 핵심만 쏙쏙 알려드릴게요.
1. 2026년 최저임금 월급 (주휴수당 포함)
우리가 보통 '월급'이라고 말할 때는 법적으로 보장된 '주휴수당'이 포함된 금액을 기준으로 합니다.
(주 40시간 근무, 즉 하루 8시간씩 주 5일 일하는 경우 기준)
월 근무 시간: 209시간 (기본 174시간 + 주휴 35시간)
2026년 최저 월급: 10,320원 X 209시간 = 2,156,880원
2025년 월급(2,096,270원)과 비교하면, 한 달에 60,610원이 오르는 셈입니다.
2. 2026년 최저임금 연봉 환산
그렇다면 연봉은 얼마일까요? 간단하게 월급에 12개월을 곱하면 됩니다.
2026년 최저 연봉: 2,156,880원 X 12개월 = 25,882,560원
물론 이 금액은 세전 기준이며, 상여금이나 다른 수당은 제외된 정말 '최소한'의 연봉입니다.
3. 가장 궁금한 '실수령액'은 얼마? (세금 공제)
월급 215만 6,880원이 통장에 그대로 다 들어오면 좋겠지만, 아쉽게도 우리는 4대 보험과 소득세를 내야 하죠.
공제 항목: 국민연금, 건강보험(장기요양보험 포함), 고용보험, 소득세, 지방소득세
2026년 예상 실수령액: 약 190만 원 ~ 196만 원
이 실수령액은 부양가족 수나, 회사에서 가입한 보험 요율, 비과세 식대 포함 여부 등에 따라 사람마다 조금씩 달라질 수 있으니 '대략 이 정도구나!'하고 참고해 주세요.
[관련 글] 2026년 4대 보험 요율 완벽 가이드 (내 실수령액 계산하기)
꼭 알아야 할 최저임금 추가 정보 (사장님, 알바생 필독!)
월급 계산만 하고 끝내면 Dr.데일리가 아니죠! 우리가 꼭 알아야 할 몇 가지 추가 정보를 더 알려드릴게요.
1. 업종별 차등 적용 (분야별로 다른가요?)
"편의점 알바랑 식당 알바랑 최저임금이 다른가요?" 이런 궁금증을 가질 수 있는데요. 2026년 최저임금 역시 2025년과 마찬가지로 업종(분야)에 상관없이 모든 사업장에 동일하게 적용됩니다.
2. 수습 기간, 월급 깎여도 되나요?
네, 가능합니다. 하지만 조건이 있어요.
1년 이상 근로 계약을 했을 경우
최대 3개월의 수습 기간 동안
최저임금의 90%까지 지급할 수 있습니다. (즉, 10% 감액 가능)
단, 택배 상하차나 단순 청소 등 '단순 노무 직종'으로 분류되는 일은 수습 기간이라도 100% 모두 지급해야 합니다!
3. 최저임금에 포함되는 것, 안 되는 것
내 월급이 최저임금에 맞는지 계산할 때, 어떤 항목이 포함되는지 헷갈릴 수 있어요.
포함되는 것: 기본급, 매달 고정적으로 주는 식대, 교통비, 직무수당
포함 안 되는 것: 연장/야간/휴일 근무 수당, 명절 상여금처럼 매달 주지 않는 돈, 연차수당
쉽게 말해, '매달 고정적으로 받는 돈'은 최저임금에 포함된다고 생각하시면 편합니다.
자주 묻는 질문 (QNA)
Q1. 2026년 최저임금 적용 시기는 정확히 언제부터인가요? A1. 2026년 1월 1일부터 2026년 12월 31일까지 1년간 적용됩니다. 2026년 1월 1일 이후에 일한 근무일부터는 무조건 시급 10,320원 이상을 받아야 합니다.
Q2. 5인 미만 사업장도 최저임금을 지켜야 하나요? A2. 네, 무조건 지켜야 합니다. 최저임금법은 근로자가 1명이라도 있는 모든 사업장에 적용됩니다. 5인 미만 사업장과는 관계없습니다.
Q3. 주휴수당은 꼭 줘야 하나요? A3. 네, 줘야 합니다. 1주일에 15시간 이상 일하기로 약속했고, 그 주의 근무일을 모두 개근했다면 주휴수당(유급휴일 수당)을 받을 권리가 있습니다.
Q4. 사장님이 2026년에도 최저임금을 안 주면 어떻게 하나요?
A4. 최저임금 지급은 법적 의무입니다. 만약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는다면, **고용노동부(국번 없이 1350)**나
이제 2026년 최저임금에 대해 궁금증이 좀 풀리셨나요?
2026년 최저임금은 시급 10,320원, 주 40시간 기준 월급 2,156,880원(세전)입니다.
오랜만에 노동계와 경영계가 한발씩 양보해 '합의'로 이뤄낸 결과인 만큼, 우리 사회가 조금 더 상생하는 방향으로 나아가는 계기가 되었으면 합니다. 근로자분들은 당당하게 권리를 챙기시고, 사장님들은 조금 부담이 되시겠지만 새로운 임금 기준에 맞춰 잘 준비하시길 바랍니다.
2026년 최저임금 인상, 여러분은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여러분의 소중한 의견을 댓글로 남겨주세요!
.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