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Dr.데일리'입니다. 🪙
지난 글([스테이블코인(USDT) 사는 법 A-Z])을 통해 드디어 내 손에 '디지털 달러(USDT)'를 쥐게 되셨습니다. 축하드립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런 불안감이 밀려올 겁니다.
"바이낸스 같은 거래소에 그냥 둬도 괜찮을까?"
"뉴스에서 거래소가 해킹당하거나 파산(FTX 사태)했다던데... 내 돈은 괜찮을까?"
맞습니다. 거래소에 있는 당신의 자산은, 엄밀히 말해 '내 돈'이 아니라 '거래소가 나에게 돌려줄 빚'과 같습니다. 거래소가 문을 닫으면 모든 것을 잃을 수도 있죠.
그래서 오늘은 내 자산을 100% '내 통제 하에' 두는, 가장 안전한 방법인 '콜드월렛(하드웨어 지갑)', 그중에서도 가장 대중적인 '렛저 나노 S 플러스(Ledger Nano S Plus)' 사용법을 완벽하게 알려드릴 겁니다.
오늘 글의 핵심은 단순히 '기기 사용법'이 아닙니다. 이 기기를 다루면서 초보자가 단 한 번의 실수로 전 재산을 영구히 잃을 수 있는 '가장 위험한 순간'들을 막아드리는 것이 목표입니다.
1. [★초집중] 'PIN 코드' vs '24개 복구 단어': 이것부터 구분하세요
렛저를 처음 켜면 2가지를 설정합니다. 초보자는 100% 이 둘을 헷갈려 하며, 여기서부터 비극이 시작됩니다.
① PIN 코드 (4~8자리 숫자)
- 이것은 '현관문 비밀번호'입니다. 
- 렛저 기기를 켤 때마다 누르는, 일상적인 비밀번호입니다. 
- 만약 3번 연속 틀리면? 렛저 기기는 보안을 위해 자동으로 공장 초기화됩니다. 
- "초기화되면 내 돈은??" ... 괜찮습니다! 돈은 기기가 아니라 블록체인에 있으니까요. 이때 필요한 게 바로 두 번째, '복구 단어'입니다. 
② 24개의 복구 단어 (Seed Phrase)
- 이것은 '은행 금고 마스터 키'입니다. 
- 이 단어 24개만 있으면, 렛저 기기가 부서지든, 잃어버리든, 초기화되든, 전 세계 어디서든 새 기기로 내 모든 자산을 복구할 수 있습니다. 
- 이것은 '비밀번호'가 아닙니다. 이 단어 자체가 '당신의 돈'입니다. 
이 차이를 아시겠나요? "PIN 코드를 잊는 것은 괜찮습니다. (기기를 초기화하고 24개 단어로 복구하면 되니까요.)" "하지만 24개 복구 단어를 잃는 것은, 당신의 모든 자산을 잃는 것입니다."
2. '24개 복구 단어' 보관: 절대 하면 안 되는 3가지
렛저가 종이 카드를 주면서 24개 단어를 '직접' 손으로 적으라고 하는 이유가 있습니다.
🚨 1. 절대 사진 찍지 마세요 (해킹 1순위)
- 편하다고 스마트폰 카메라로 찍는 순간, 그 사진이 구글 포토나 아이클라우드에 자동 업로드될 수 있습니다. 해커가 당신의 클라우드 계정만 털면, 24개 단어가 그대로 노출됩니다. 
🚨 2. 절대 컴퓨터/메일에 입력하지 마세요 (키보드 해킹)
- "나만 보는 메모장"이나 "내 이메일"에 적어두는 것도 금물입니다. 해커는 키보드 입력 값을 가로채거나(키로깅), 이메일을 해킹해 단어를 훔쳐 갑니다. 
🚨 3. 절대 누구에게도 알려주지 마세요 (피싱)
- 렛저(Ledger) 직원이나 고객센터는 절대 당신의 24개 단어를 묻지 않습니다. "복구를 도와주겠다"며 24개 단어를 입력하라는 링크나 이메일은 100% 사기(피싱)입니다. 
✅ Dr.데일리의 추천 보관법
- 기본: 렛저가 제공하는 종이 카드에 적어, 아무도 모르는 곳(진짜 금고 등)에 보관하세요. 
- 업그레이드: 종이는 불에 타거나 물에 젖으면 사라집니다. '빌포들(Billfodl)'이나 '크립토스틸(Cryptosteel)' 같은 '메탈 스토리지(강철 지갑)'에 단어를 각인해두면 화재나 홍수에도 안전합니다. 
- 최고급: 24개 단어를 3부분(예: 1~8, 9~16, 17~24)으로 나눠 서로 다른 3곳의 물리적 장소에 보관하는 것입니다. (보안의 끝판왕) 
3. (실전 1) 렛저 라이브(Ledger Live) 설정하기
이제 실전입니다. 렛저 기기와 연동되는 공식 프로그램 '렛저 라이브(Ledger Live)'를 PC나 모바일에 설치해야 합니다.
여기서 잠깐! 우리는 지난 글에서 '업비트 -> 바이낸스'로 '트론(TRX)' 코인을 이용해 'USDT (TRC-20)'를 전송했습니다.
기억나시죠? USDT는 이더리움(ERC-20), 트론(TRC-20) 등 여러 네트워크(고속도로) 위에 존재합니다. 우리가 가진 USDT는 '트론 네트워크(TRC-20)' 위에 있습니다.
따라서 렛저에 이 USDT를 보관하려면, '이더리움 앱'이 아니라 '트론(TRON) 앱'을 설치해야 합니다.
- PC/모바일에 '렛저 라이브(Ledger Live)'를 설치하고 실행합니다. 
- [Manager] 메뉴로 이동 후, 렛저 기기를 연결하고 PIN 코드를 입력해 잠금을 해제합니다. 
- 앱 카탈로그에서 'Tron (TRX)'을 검색하고 [Install] 버튼을 눌러 렛저 기기에 설치합니다. 
- 설치가 완료되면, 렛저 라이브 [Accounts] 탭에서 [Add account]를 눌러 'Tron (TRX) 계정'을 추가합니다. 
이 트론 계정이 생성되면, 이 계정 주소로 TRX 코인과 모든 TRC-20 토큰(우리가 가진 USDT 포함)을 받을 수 있습니다.
4. (실전 2) 바이낸스에서 렛저로 USDT 전송하기 (네트워크 재확인)
이제 바이낸스(거래소)에 있는 내 USDT를 렛저(내 개인 금고)로 옮기는 마지막 단계입니다.
1단계: 렛저에서 '입금 주소' 확인하기 (TRC-20)
- 렛저 라이브(Ledger Live) 앱 실행 
- 방금 만든 'Tron (TRX)' 계정 선택 
- [Receive] (받기) 버튼 클릭 
- 렛저 기기를 연결하고 'Tron' 앱을 실행하라는 안내에 따릅니다. 
- 기기 화면에 - T...로 시작하는 주소가 표시됩니다. 이 주소가 바로 당신의 '트론(TRC-20) 입금 주소'입니다.
- 이 주소를 [복사]합니다. 
2단계: 바이낸스에서 '출금' 신청하기
- 바이낸스 앱 실행 > [Wallets] > [Spot] > [Withdraw] (출금) 선택 
- 'USDT' 검색 후 선택 
- [Address] (주소) 란에 방금 1단계에서 복사한 렛저의 'TRC-20' 주소를 붙여넣습니다. 
- [Network] (네트워크) 선택 (★가장 중요!) - 여러 네트워크(ERC20, BEP20, TRC20 등) 목록이 뜹니다. 
- 여기서 반드시 'Tron (TRC20)'을 선택해야 합니다. 
- (경고: 여기서 실수로 ERC20 같은 다른 네트워크를 선택하면, 당신의 USDT는 영원히 사라집니다.) 
 
- 수량 입력 후 [Withdraw] 버튼을 누르고 인증을 완료합니다. 
약 5~10분 후, 렛저 라이브의 'Tron' 계정 잔액이 업데이트되며 USDT가 입금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제 이 USDT는 거래소가 망해도, 해킹당해도 안전한 '완벽한 내 자산'이 되었습니다.
5. [★★최종 경고] '25번째 단어(패스프레이즈)' 절대 만지지 마세요
렛저 설정에는 '패스프레이즈(Passphrase)' 또는 '25번째 단어'라는 고급 기능이 숨어있습니다.
이것은 [24개 단어] + [나만의 비밀번호(25번째 단어)]를 조합해, 완전히 새로운 '비밀 지갑'을 만드는 기능입니다.
Dr.데일리가 강력하게 경고합니다. 이 글을 읽는 초보자분들은, 이 기능(패스프레이즈)을 절대 켜지 마세요. 호기심에도 만지지 마세요.
최악의 시나리오:
- 당신이 호기심에 이 기능을 켜고 '25번째 단어'로 - abcd를 설정합니다.
- 이 '비밀 지갑'에 1,000만 원어치 USDT를 전송합니다. 
- 나중에 기기를 복구할 때, '24개 단어'만 입력하고 - abcd를 잊어버립니다.
- 결과: 렛저는 '기본 지갑'을 엽니다. 잔액은 0원입니다. - abcd를 기억해내지 못하면, 그 1,000만 원은 영원히 찾을 수 없습니다.
이 기능은 24개 단어가 노출되었을 때를 대비한 전문가용 '최후의 보루'입니다. 24개 단어만으로도 충분히 안전하니, 절대 사용하지 마세요.
[NEW] 자주 묻는 질문 (QNA)
Q1. 렛저 기기를 잃어버리면 어떻게 하나요? A1. 괜찮습니다. 돈은 기기가 아닌 블록체인에 있습니다. 즉시 새 렛저 기기(또는 다른 콜드월렛)를 구매한 뒤, 보관해둔 '24개 복구 단어'를 입력하면 모든 자산이 그대로 복구됩니다. 기기보다 '24개 단어'를 지키는 것이 100배 중요합니다.
Q2. 렛저 라이브에 트론(TRX) 계정을 만들었는데 USDT가 안 보여요. A2. 렛저 라이브는 기본적으로 해당 네트워크의 메인 코인(트론) 잔액을 보여줍니다. USDT(TRC-20) 같은 토큰을 보려면, 'Tron' 계정 상세 화면에서 '토큰(Token)' 섹션을 확인하거나 추가해야 보일 수 있습니다. 입금 주소는 동일하니 걱정하지 않으셔도 됩니다.
Q3. 렛저 나노 S 플러스 말고 다른 모델(X, Stax)은 다른가요? A3. 기본 원리(PIN 코드, 24개 단어, 앱 설치, 네트워크)는 100% 동일합니다. 모델 차이는 주로 블루투스 지원 여부, 화면 크기, 설치 가능한 앱 개수의 차이일 뿐입니다.
(결론)
오늘 우리는 '디지털 달러'를 거래소에서 빼내어 '완벽한 내 금고(렛저)'로 옮기는 전 과정을 마스터했습니다.
핵심을 요약합니다.
- PIN 코드는 '현관문 비번', '24개 복구 단어'는 '돈 그 자체'다. 
- '24개 단어'는 절대 사진 찍거나 컴퓨터에 저장하지 말고, 손으로 써서 금고에 보관한다. 
- (중요) '25번째 단어(패스프레이즈)' 기능은 절대, 절대 만지지 않는다. 
- 바이낸스(TRC-20)에서 렛저(TRC-20)로 보낼 때, **'네트워크 일치'**를 두 번, 세 번 확인한다. 
이제 여러분은 누구도 훔쳐 갈 수 없는 '진짜 내 자산'을 갖게 되었습니다.
혹시 "이 안전한 스테이블코인으로 '이자'도 받을 수 있을까?" 궁금하지 않으신가요? 다음 글에서는 '테라 사태'처럼 위험한 방식이 아닌, '안전하게' 스테이블코인 이자를 받는 현실적인 방법 3가지를 비교 분석해 드리겠습니다.
렛저를 설정하시면서 가장 어려웠던 점이나, 24개 단어를 보관하는 본인만의 기발한 방법이 있다면 댓글로 공유해 주세요!
.jpg)
 
 
 
 
.jpg) 
.jpg) 
